브릭스 동맹으로 세계 경제의 패권 변경, 중국의 위안화 도약
![]() |
중국 브릭스 동맹 |
"브릭스 정상회의, 새로운 국제 결제망 합의로 세계를 뒤흔들다"
"브릭스 경제, 세계 경제 주도권 재분배 시동"
"디지털위안화(CBDC)로 결제 혁명, 아프리카와 중앙아시아에서도 빛나다"
최근 중국의 국가주석인 시진핑은 미국 중심의 국제 결제망인 스위프트(SWIFT)의 위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스위프트는 국제은행간 통신을 위한 시스템으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달러 중심의 국제 결제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국제 결제망에서 배제된다는 것은 경제적 고립과 동의어로 여겨집니다. 미국은 페트로-달러 패권을 유지하면서 이 결제망에 대한 통제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왔습니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스위프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결제망 독립 시도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2년 브릭스(BRICS) 화상 정상회의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이 더욱 강조되었습니다. 브릭스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머릿글자를 딴 명칭으로, 이번 회의에는 이들 외에도 이란, 아르헨티나, 알제리, 이집트,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세네갈, 우즈베키스탄, 캄보디아, 에티오피아, 피지, 말레이시아, 태국 등 총 13개국이 참석하였습니다. 이 회의는 사실상 중국과 러시아 중심의 새로운 기축통화와 그에 맞는 국제 결제망 구축에 합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브릭스의 이러한 움직임은 페트로-달러 패권에 충분히 위협적입니다. 2000년에는 세계 GDP의 8%를 차지했던 브릭스 국가들의 경제 규모는 2018년에는 32.6%로 성장하였습니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약 31억6000만 명으로 세계 인구의 41.6%를 차지하며, 교역량과 외환 보유액도 세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이번 브릭스 회의에 참석한 13개국이 추가되면 브릭스의 경제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움직임 중에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중국의 위안화와 위안화 결제망인 CIPS(Cross-Border Interbank Payment System)의 역할입니다. 미국의 SWIFT 시스템 대신 CIPS를 활용하면 국제 결제 프로세스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은 CIPS 시스템에 인민은행의 디지털 위안화(CBDC)를 연동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결제와 송금 과정이 더욱 간소화됩니다. 이는 휴대폰을 통한 개인 간 거래가 가능하게 하며, 인터넷 환경이 부족한 아프리카와 중앙아시아 국가에서도 유용한 결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CIPS는 2015년에 출범하였을 때 중국 은행 11곳과 외국 은행 8곳의 참여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103개 국가의 1280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거래 건수와 금액은 각각 약 334만 건과 90조 위안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는 CIPS가 국제 결제 시스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뿐만 아니라 브릭스 회의에서 중국의 동맹인 러시아와의 협력이 강조되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새로운 기축통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브릭스 국가들끼리 자급자족 독자 경제권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이를 위해 브릭스 국제 결제 시스템과 기축통화를 만들자는 구상을 내놓았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세계 경제를 정치화, 도구화, 무기화하고 국제 금융·화폐 시스템의 주도적 지위를 이용하는 자의적 제재는 자신을 해칠 뿐 아니라 전 세계에 재앙을 초래한다"며 브릭스 회원국 간 국제 결제 시스템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미국을 겨냥한 것으로 분석되며, 브릭스 회의가 미국 중심의 국제 금융 시스템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시사합니다.
중국의 위안화와 CIPS 시스템이 강화되면 브릭스 역내 국가 간 위안화 결제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위안화는 은행 계좌를 거치지 않고 개인 간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결제와 송금 과정이 더욱 간소화되며, 휴대폰을 통한 간편 결제가 가능하므로 인터넷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브릭스의 움직임은 세계 경제의 패권 재분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 경제 주도권이 다시 그림을 그리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위안화가 미래 국제 결제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향후 몇 년 동안 이러한 변화는 금융 및 경제 분야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 경제의 새로운 지형을 만들어낼 것입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