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부진으로 3분기 국내 상업용 빌딩 거래 감소세 전환


상업, 업무용 빌딩 매매표



1. "경기도 거래량 하락, 부동산 시장에 영향"

2. "서울 상업용 빌딩 3분기 거래량 상승, 9월에 급락"

3. "미국 연준의 고금리 우려로 딜 클로징 사례 늘어"


국내 상업업무용 빌딩 시장이 3분기에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올해 전국에서 두 분기 연속으로 호황을 보인 상업용 빌딩 거래 시장이 경기도를 중심으로 상당량의 거래량 감소를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부동산플래닛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는 총 3,399건으로, 이는 2분기에 비해 1.6% 줄어든 수치입니다. 이전까지 호황을 보이던 시장은 지난해 4분기 이후 1분기와 2분기에 연속해서 상승했으나, 3분기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전체 거래금액 역시 3분기에 6조 8,840억원을 기록하며, 직전 분기에 비해 11.4% 감소했습니다. 특히 경기도에서 이루어진 거래량이 상당한 감소를 기록하면서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기도를 중심으로 728건의 거래가 발생했지만, 이는 직전 2분기 대비 7.8% 감소한 수치입니다. 거래량 자체를 보면 경남(66건)에 이어 62건이 줄어들었으며, 거래금액도 6,476억원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이러한 경기도 부진이 국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뿐만 아니라 경기도 외에도 경남(24%), 제주(15.9%), 전북(11.3%), 충남(9.4%), 대전(8%) 등 7개 지역에서도 거래량이 감소하였습니다. 3분기 거래금액도 직전분기와 비교해 최소 2.4%(대구)에서 최대 36.9%(경남)까지 줄어들었습니다.


서울 지역에서는 3분기에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량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나, 월별로 보면 9월에 27.1% 감소한 121건까지 줄어들었습니다.


이러한 시장의 위축은 서울시에서도 거래금액에서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 3분기 전체 합산 매매금액은 3조 1,743억원으로 2분기에 비해 5.5% 하락하였으며, 9월에도 1조원 밑으로 내려갔습니다.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상반기 동안 긍정적인 흐름을 보인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시장이 3분기에 하락세로 돌아섰다"며 "미국 연준의 고금리 우려로 4분기 시장 상황을 낙관적으로 전망하기 어려우며, 딜 클로징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매매 가격을 할인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미국 연준의 움직임과 부동산 시장의 동향을 주시하며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Volkswagen EV Sales Soar in Europe, Crash Hard in China: What’s Next?

Sunnova Energy’s Shocking Downgrade: Default Looms Large

Qualcomm’s Bold Move to Acquire Alphawave: Will It Seal the Deal by April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