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하마스 중동 전쟁으로 긴장 고조, 원유가 최대 급등!
![]() |
이란 팔레스타인 전쟁으로 국제유가 폭등 |
- "원유 가격 급등, 중동 갈등의 영향은 어떻게?"
- "이스라엘의 대규모 군사작전으로 원유 생산에 위협?"
- "미국의 이란 제재, 원유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러시아 제재, 원유 공급 축소 우려"
중동 지정학적 긴장이 다시 한번 원유 시장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전쟁으로 인한 우려가 원유 가격을 6% 이상 급등시켰습니다. 현지시간 13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의 선물 가격은 배럴당 87.69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4.78달러(5.8%) 상승했습니다. 동일한 날,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브렌트유의 선물 종가는 배럴당 90.89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4.89달러(5.7%) 상승했습니다. 이는 이 두 유종이 4월 이후 최대 일일 상승을 기록한 것입니다. WTI 원유는 이번 주에만 5.9% 상승하며 브렌트유도 7.5% 상승하여 2월 이후 최대 주간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원유 시장의 불안한 상황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북부 주민 110만명에게 대규모 군사작전이 예고되면서 원유 시장은 불안정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갈등이 전쟁에서 공중전에서 지상전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중동 지역 원유 생산에도 차질이 생길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덴마크 투자은행 삭소은행의 올레 한슨 상품 전략 책임자는 "유가가 안정을 찾기 전에 더 높아질 수 있으며, 이스라엘이 100만명의 주민들에게 가자 북부 지역을 떠나라는 명령을 내렸다면, 누구도 원유에 공매도 포지션을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이란의 관계 강화될까?
또한, 이번 갈등으로 인해 미국과 이란 간의 관계도 긴장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이번 갈등에 이란이 개입했다고 판단하면 이란의 원유 공급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날 이란의 자바드 오우지 석유부 장관은 현재 중동 지정학적 상황 때문에 원유 가격이 배럴당 100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중개로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정상화 계획 불투명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의 중재 노력 아래 이스라엘과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었으나, 현재의 갈등으로 이러한 계획이 불투명해져 원유 시장 공급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러시아 제재로 원유 시장 불안
또한, 전날 미국 재무부가 러시아 원유 가격 상한제를 위반한 해운사 2곳을 최초로 제재한 것도 원유 시장을 끌어올린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됩니다. 미국과 주요 7개국(G7) 및 유럽연합(EU)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 해상 원유 수입을 금지하고 원유를 배럴당 60달러로 가격 상한제를 도입했습니다. 최근 몇 주 동안 러시아가 60달러 상한선을 넘겨 원유를 판매하자 미국 정부는 이를 차단하기 위한 제재를 시행할 것으로 예고했습니다. 미국이 세계 2위 석유 수출국인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면 공급 축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유가 전망
글로벌 금융기업 라보뱅크의 조 드로라 글로벌 에너지 전략가는 "이번 제재 자체는 중요하지 않지만 앞으로 더 큰일들이 일어날 것이라는 신호"라며 "이번 분기에 무슨 일이 있어도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로 향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보고서를 통해 이스라엘과 하마스 갈등이 아직 공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는 않다고 분석하였으나, 석유 시장이 "불확실성에 휩싸였다"며 "중동 지역의 위기가 확산됨에 따라 시장은 긴장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고 묘사했습니다. IEA는 공급이 갑자기 부족할 경우 시장이 "적절한 공급량"을 유지하도록 조치할 준비가 돼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석유수출국기구(오펙)는 세계 경제가 회복할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세계 최대 석유 수입국인 중국으로부터 수요가 추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올해와 내년 전 세계 원유 수요 증가 전망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원유 시장은 미국, 이란, 러시아, 그리고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예측 불투명성을 안고 있으며, 긴장 상태를 계속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