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더 웨일> 창작과 소비의 미묘한 연결, 사랑의 구원 이야기

아버지와 딸, 창작과 소비의 미로에서 찾은 사랑과 구원

영화 <더 웨일>은 사랑, 창작, 소비, 그리고 구원에 관한 감동적인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영화의 주인공 찰리와 앨리의 관계를 통해 창작과 소비의 복잡한 연결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사랑과 구원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는 종종 자신의 인생을 특정 업종과 연관시키며 그 업을 통해 삶을 이해하곤 합니다. 축구 선수는 축구와 같다고 말하고, 영화인들은 영화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소설가와 같은 글쟁이들은 삶을 에세이나 소설로 표현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창작과 소비가 인생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영화 <더 웨일>의 주인공 찰리 또한 삶에서 창작과 소비를 경험하는 인물입니다. 그는 타인의 글을 첨삭하며 소비하고, 자신의 육신을 희생하며 소비합니다. 그러나 여기서 의문이 제기됩니다. 타인의 글을 첨삭하는 행위도 창작으로 볼 수 있는 걸까요?


기본적으로 찰리와 같이 작문을 가르치는 사람은 스스로 글을 쓸 수 있지만 영화에서 그는 스스로 글을 창작하지 않습니다. 그저 첨삭만 하는 것이죠. 이로써 우리는 찰리가 창작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죽었다고 주장하는 독특한 주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찰리는 자신의 삶을 소비하는 방법으로 음식을 폭력적으로 스스로에게 주입하고, 글쟁이로서의 창작을 멈추며 자신의 영혼을 소비합니다. 그는 일방향적인 삶을 살았고, 이는 섭리에 어긋난 것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그의 삶이 상실의 과정을 겪은 이유는 그의 남자친구의 죽음 때문입니다.


남자친구의 죽음은 찰리의 삶의 일부분을 상실시켰고, 이는 창작의 원천이 될 수도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찰리가 창작의 삶을 포기한 것은 이해할 만합니다. 그의 이별은 또한 삶의 상실이었고, 이는 자신의 삶에 대한 죄책감으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찰리는 동성애자였으며, 그의 남자친구 앨런은 모태신앙이었습니다. 이 관계에서 찰리가 겪은 고뇌는 죽음에 이르게 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화에서는 이러한 내면적 고뇌를 자세히 다루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추측에 의존해야 합니다.


찰리는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고 스스로를 소비하며 창작을 멈추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그에게 남은 유일한 사명은 딸 앨리의 창작입니다. 앨리 역시 창작을 멈추고 스스로의 삶을 소비했습니다. 그녀의 창작은 찰리의 마지막 인생의 사명이 될 수 있습니다.


앨리의 에세이는 영화의 결말을 제외한 대부분의 내용을 관통하며, 찰리를 아합으로 상징하는 백고래를 괴롭히는 목표로 보입니다. 그러나 찰리는 앨리에게 더 나은 길을 제안합니다. 그는 앨리가 스스로의 삶을 다르게 바라볼 때, 그녀의 창작이 그녀의 삶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영화는 사랑과 희생을 통해 창작과 소비의 연결을 보여주며, 앨리와 찰리의 관계를 통해 구원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아버지와 딸 사이의 사랑은 창작과 소비의 미로에서도 강력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결국, 사랑이 구원의 열쇠임을 보여줍니다.


이 영화를 통해 감독 대런 아로노프스키가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무엇일까요? 우리는 종교적 메시지나 인본주의적 구원론을 떠나, 영화를 통해 사랑과 희생의 미소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사랑은 창작과 소비의 원동력이며, 이는 결국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찾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더 웨일>은 감동과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는 영화로 남을 것입니다.

댓글